■ iloc
숫자(integer position)로 접근
예시)
data.iloc[:,:3]
- 특정 순서의 열을 인덱싱 할 때
data.iloc[:,[2,5,-1]] # -1은 마지막 열
■ loc
문자(label)로 접근
예시)
- 행과 열 모두 인덱싱 한 경우
pd.concat([target,weather_mean],axis=1).corr().loc['smp_max':'supply','area':]
- 특정 열을 선택한 경우
daily_price_oil.loc[:,['date','mean']]
- 열의 특정 범위를 선택한 경우
weather.loc[:,'area':'temp']
결론
인덱싱을 숫자로 할지, 문자로 할지 차이였다.
'Study doc.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알고 써라!! 판다스(Pandas) (1) | 2020.07.23 |
---|---|
[Python] 알고 써라!! 넘파이(Numpy) (0) | 2020.07.21 |
[Python] logloss가 뭐야? (0) | 2020.06.06 |
[Python] concat vs merge (0) | 2020.06.01 |
[Python] apply, lambda 함수의 활용 + map 함수 (0) | 2020.06.01 |